본문 바로가기

Bioscience8

NK세포의 기능 자연 살해 세포(natural killer cell, NK세포)는 표적세포와 접촉한 후 2가지 경로로 사멸 수용체 경로(death receptor pathway) 및 과립 의존성 경로(granule-dependent pathway)를 통해 표적세포의 세포자살(apoptosis)을 유도한다. 사멸 수용체 경로(death receptor pathway) 사멸 수용체 경로(death receptor pathway)는 사멸 수용체(death receptor)를 통한 경로이다. 사멸 수용체는 TNF 수용체 슈퍼 패밀리 중 하나이며, 리간드로 Fas, TNF, TRAIL에 대한 수용체가 여기서 속한다. 수용체가 리간드와 결합하면 표적세포에 사멸 신호를 전달하여 세포자살(apoptosis)을 유도한다. 예컨대, NK.. 2022. 7. 25.
NK 수용체 NK세포(자연 살해 세포, natural killer cell)는 백혈구의 일종으로 T 세포 및 B 세포와 같이 수용체를 통해 활성화되어 사이토카인(cytokine), 예컨대 IFNγ를 분비하며, 세포를 죽일 수 있는 Fas 리간드 또는 세포독성 과립(cytotoxic granule)을 사용하여 표적세포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NK세포는 한 가지 항원 수용체만을 가지고 있는 T 세포 및 B 세포와 달리 두 가지 수용체, 즉 활성 수용체(activating NK receptor)와 억제 수용체(inhibitory NK receptor)를 가지고 있고, MHC class I 또는 II 분자가 제시하는 항원만 인식하지 않아 항원 인식이 MHC 비제한적이다. NK 활성 수용체는 표적세포에서 존재하지 말아야 .. 2022. 7. 25.
항원 T 세포 수용체(TCR)의 종류 및 기능 림프구와 항원 간 상호작용은 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항원 특이적 수용체에 항원이 결합하면서 일어난다. B 세포는 세포막에서 발현되는 면역글로불린이 항원의 수용체 역할을 하며, 이러한 막관통 면역글로불린을 항원 B 세포표면 수용체(B cell receptor, BCR)라 한다. T 세포도 세포막에서 발현되는 항원 수용체인 항원 T 세포표면 수용체(T cell receptor, TCR)가 존재하고 구조적으로 항체와 비슷하지만, BCR과는 항원 인식 방법이 다르다. 또한, T 세포는 B 세포와 같이 면역글로불린 생성을 막 결합 형태에서 분비 형태로 전환하는 방식으로 수용체를 분비할 수 없다. TCR은 BCR과 같이 free 항원, 즉 수용성 항원을 인식하지 못한다. 대부분의 T 세포는 숙주세포 표면에 발현되는 .. 2022. 7. 25.
항원-항체 결합 항체는 중간대사산물, 당, 지방, 자극성 약물, 호르몬뿐만 아니라, 복합 탄수화물, 인지질, 핵산, 단백질 등 거대분자를 포함한 모든 종류의 생물학적 분자들을 항원으로 인식한다. 일반적으로 단백질, 탄수화물, 핵산과 같은 거대분자는 항체의 항원 결합 부위보다 크기 때문에 거대분자의 일부분이 항체에 결합하는데 이를 항원 결정기(determinant)또는 에피토프(epitope)라 한다. 거대분자는 다수의 항원결정기를 포함하고 이들 중 어떤 것들은 반복되어 있으며, 다수의 동일한 결정기가 반복된 형태의 항원을 다가(multivalency) 항원이라 한다. 탄수화물 및 핵산은 여러 개의 동일한 에피토프가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되어 있는 다가 항원이다.세포 표면에 있는 단백질과 탄수화물 또한 대부분 다가 항원이다.. 2022. 7. 4.
항체의 작용 항체는 감염 인자를 고전 경로를 통해 보체계와 연결하고, 항체 의존성 세포성 세포독성(antibody-dependent cellular cytotoxicity, ADCC)이라 불리는 기전을 통해 NK 세포, 호산구 등의 살해세포 및 호중구 및 대식세포와 같은 식균 세포와 연결한다. 5종의 항체 중 IgE는 감염 인자와 비만세포 및 호염구의 연결에 관여한다. 고전경로(classical pathway)를 통한 보체계 활성을 위해서는 IgG 또는 IgE 항체가 필요하다. 이들 항체는 항체의 Fab 부위에 항원이 결합하게 되면 항체의 Fc 부위에 보체 고전경로의 첫 번째 분자인 C1 복합체 내 C1q가 결합하여 C1 복합체의 단백질분해 활성이 유도된다. 보체 고전경로의 첫 번째 분자인 C1 복합체는 3개의 소단.. 2022. 7. 4.
항체의 구조 및 종류 항체는 B 세포로부터 분화된 형질세포에서 방출된다. 항체는 두 가지 주요 부분을 가짐으로써, 면역 방어에서 두 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첫 번째로 항체는 항원을 인지하는 기능을 하는 부분(가변 영역, variable region)을 가짐으로써, 외래 물질(항원)을 인지하여 결합하는 기능을 한다. 항원은 단백질, 탄수화물, 지질, 핵산 등 거의 모든 물질이 될 수 있다. 항원은 미생물, 기생충과 같은 감염성 생명체, 음식과 같은 섭취된 물질, 꽃가루처럼 흡입한 물질, 이식한 기관 및 조직, 또는 우리 몸의 일부(자가항원)가 될 수 있다. 두 번째로 항체는 효과기 부분(불변 영역, constant region)을 가짐으로써, 항체로 뒤덮인 외래 물질에 결합하여 단백질 보체계, 호중구와 대식세포와 같은 면역세포.. 2022. 6. 30.
면역계의 세포 종류 및 기능 면역세포는 백혈구라고도 불리며, 크게 골수 세포(myeloid cell)와 림프 세포(lymphoid cell)로 나눌 수 있다. 면역계의 세포는 골수의 만능 조혈모세포(pluripotent hematopoietic stem cell)로부터 유래한다. 만능 조혈모세포로부터 공통 림프 전구세포(common lymphoid progenitor) 및 공통 골수 전구세포(common myeloid progenitor)가 생성되고, 다양한 유형의 림프구와 골수 세포로 분화된다. 구체적으로 생성된 공통 림프 전구세포로부터 주요 림프구 세포 유형인 T 세포, B 세포, 자연살해세포(NK 세포)가 만들어진다. 생성된 공통 골수 전구세포로부터 주요 골수 세포 유형인 호중구(neutrophil), 호산구(eosinophi.. 2022. 6. 26.
선천 면역반응 VS 적응 면역반응 병원체의 감염에 맞서는 방어체계를 면역(immunity)이라 한다. 병원체는 세포 내부 및 세포 외부의 박테리아, 바이러스, 효모, 기생충, 단세포 기생충, 곰팡이 등 여러 종류가 있으므로, 다양한 면역 반응이 필요하다. 면역반응은 비 자기(non-self)로부터 유래한 병원체 연관 분자 패턴(pathogen-associated molecular pattern, PAMP)이나 숨겨진 자기(hidden self)로부터 유래한 위험 연관 분자 패턴(danger-associated molecular pattern, DAMP)의 인지로 시작된다. 세포 표면에 부착되어 있거나 유동적으로 존재하는 패턴 인식 수용체(pattern recognition receptor, PRR) 분자는 PAMP나 DAMP를 인지한다... 2022. 6. 26.